1.블레셋 사람들은 거부가 된 이삭을 시기해 어떤 행동을 합니까?(15절)
2.이삭은 자신이 판 우물을 두고 다툼이 일어나자 어떻게 반응합니까?(20~22절)
3.이삭은 왜 힘들게 판 우물을 메우고 빼앗는 자들과 다투지 않고 새 우물을 팝니까?
4.더 이상 다툼이 없을 때까지 우물을 판 후 하나님께 감사를 고백하는 이삭의 모습에서 무엇을 느낍니까?
5.나를 시기하거나 대적하는 이들을 포용하지 못하고 되갚으려 했던 적은 언제입니까? 다툼과 시기 속에서도 인내하며 하나님을 의지하기 위해 무엇을 실천하겠습니까?
우물을 막고… 메웠더라(15절) 고대 사회에서 우물은 생존과 직결됐으며, 토지 소유를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임. 따라서 우물을 메우는 행위는 토지에 대한 권리 다툼의 한 형태였으며 선전 포고 혹은 추방의 뜻이었음
네가 우리보다 크게 강성한즉(16절) ‘강성하다’라는 말은 주변에 위협이나 부담을 줄 정도로 힘이 강해졌다는 뜻임. 특히 그 지역 최고 권력자에게까지 영향력을 미칠 정도로 이삭이 하나님께 받은 축복이 크고 강력한 상태를 의미함
흉년에도 불구하고 이삭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해 그랄 땅에 머물렀고,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큰 복을 내려 부자가 되게 하십니다(12~13절). 그러나 이를 시기한 블레셋 사람들이 아브라함 시대에 팠던 우물들을 메워 버렸고, 결국 이삭은 그곳을 떠나 그랄 골짜기에 거류합니다(14~17절). 그곳에서 이삭은 아버지 아브라함이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파기 시작했는데, 이번에는 그랄 목자들이 우물의 소유권을 주장하며 다퉜습니다. 그는 다시 새로운 우물을 팠지만, 또다시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마침내 그는 더 이상 다툼이 없는 곳에 이르러 우물을 파고 그곳을 ‘르호봇’이라 이름 지으며, 하나님께서 넓은 곳을 주셨다고 고백합니다(22절). 고대 사회에서 우물을 파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삭은 하나님을 의지하며 양보합니다. 이러한 이삭에게 하나님께서는 풍성한 복을 허락하십니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백성이 세상의 다툼과 시기 속에서도 그분의 인도를 따르기를 원하십니다. 그러므로 오늘 하루 하나님의 자녀로서 인내하며, 그분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길 바랍니다.
세상의 시기와 다툼 속에서도 인내하며,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게 하소서.